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4일 약 1시간 전화 통화를 갖고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으로 격화되고 있는 중일 갈등에 대해 논의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25일 이번 통화가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걸어서 진행됐다고 CNBC 인터뷰에서 밝혔다.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같은 날 브리핑에서 “내가 알기로 이번 통화는 미국이 제안했다”고 말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화 통화에서 “대만의 중국 복귀는 전후 국제질서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중국과 미국은 과
야마토게임다운로드 거에 파시즘과 군국주의에 함께 맞섰고, 현재는 제2차 세계대전의 승전 성과를 공동으로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또 “중국과 미국이 협력하면 모두에게 이롭고, 싸우면 모두 다친다는 게 실천을 통해 증명된 상식”이라고 했다.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만 관련 입장을 적극 설명하고 현 상황을 유리하게 관리하기 위한 시도를 보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백경게임랜드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통화에서 “미국은 대만 문제가 중국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핵심 동맹인 일본이 아닌 패권 경쟁 중인 중국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내놓은 것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으로부터 무역 협상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
바다이야기2 전 같은 이슈에서 협조를 구하기 위해 대만 의제에서 한발 물러설 가능성을 시사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통화한 뒤 다카이치 총리와도 약 25분간 통화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25일 취재진에게 “트럼프 대통령 요청으로 (통화가) 이뤄졌다”며 “동맹 강화, 인도태평양 정세 등에 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으
황금성게임랜드 며 미중 정상의 통화에 관한 설명도 있었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친한 친구이며 언제든 전화해 달라’는 말을 들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시 주석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마약) 펜타닐, 대두(大豆), 기타 농산물 등 많은 주제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통화에서 시 주석은 트럼프 대
무료릴게임 통령을 내년 4월 중국 베이징으로 초청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수락했다. 이에 답하는 의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을 내년에 미국에 국빈 초청하겠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모습을 보이고, 트루스소셜에서 대만 문제를 언급하지 않은 것을 두고 “동맹에 대한 미국의 의지를 우려하는 역내 동맹국의 불안을 더 키울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시진핑 “2차대전 승리, 美와 공동 성과”… 日 겨냥하며 美에 손짓
[‘대만 리스크’ 개입 나선 트럼프]트럼프-시진핑, 1시간 통화習, 日 우방 美 설득해 돌파구 시도… “대만의 中복귀, 전후질서 중요부분”트럼프, 日과도 통화 ‘중재자’ 부각… 中엔 무역 협상 양보 요구할 듯
패권 경쟁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4일(현지 시간) 통화한 것은 대만을 둘러싼 일본과의 대립 격화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달 7일 ‘대만 유사시 개입’ 의사를 밝힌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리는 △일본 관광 및 유학 자제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등 중국의 경제 보복에도 ‘발언 철회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다카이치 총리의 지지율도 70%를 넘나들고 있다.
이처럼 일본과의 갈등이 잦아들지 않자 시 주석이 일본의 최우방 미국을 설득해 돌파구를 만들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통화의 목적을 미국을 중국 쪽으로 끌어당기고 일본은 억제하려는 시도라고 평가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무역 협상에서의 양보 등을 요구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다카이치 총리와도 통화하며 “우리는 친한 친구”라고 강조하고, 시 주석과의 통화 내용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재자’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일본과의 관계도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행보로 보인다.
특히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25일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먼저 전화를 걸었으며 대만에 대한 미국의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US position on Taiwan is unchanged)”고 밝혔다. 마냥 중국 편만 들지는 않겠다는 뜻을 강조한 것이다.
● 習 “대만 中 복귀는 전후 국제질서 중요 부분”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중국과 미국은 과거 파시즘과 군국주의에 함께 맞섰다. 제2차 세계대전 승리의 성과를 더 잘 수호해야 한다”고 밝혔다. 당시 패전국인 일본을 노골적으로 겨냥한 것이다. 시 주석은 또 “대만의 중국 복귀는 전후(戰後) 국제질서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하나의 중국’ 원칙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 의제가 중국에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앞서 20일 미 국무부는 “미일 동맹,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를 포함한 일본 방위에 대한 우리의 약속은 흔들림이 없다”면서 일본 지지 의사를 밝혔지만, 정작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한 것이다. 미국은 1979년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한 후 대만 의제에서 ‘전략적 모호성(strategic ambiguity)’ 정책을 고수했다.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때 대만을 군사적으로 지원할지에 대해 명확히 밝히지 않은 채 모호한 태도를 견지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감안할 때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대만에 관한 미국의 정책이 달라졌다는 오해를 살 수도 있다. 수차례 대만 방어 의지를 밝힌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과도 차이가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중국 상황에 정통한 인사들을 인용해 “시 주석이 최근 중일 갈등을 대만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기존 인식을 흔들 기회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올 9월 3일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 열병식 땐 “중국 인민이 반(反)파시즘 전쟁에서 민족적 희생을 치르며 인류 문명을 구하고 세계 평화를 수호했다”면서 중국의 단독 성과를 주장했다. 이런 시 주석이 두 달 만에 ‘세계대전 승리는 미국과의 공동 성과’라며 달라진 태도를 보인 것은 그만큼 일본과의 갈등을 푸는 게 쉽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카이치 내각은 25일 각의(국무회의)에서 자위대 파병이 가능한 ‘존립 위기 사태’에 대해 “기존 견해를 유지하며 재검토가 필요치 않다”고 밝혔다. 대만 유사시를 일본의 존립 위기로 보고 집단자위권을 발동하겠다는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을 철회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또 고이즈미 신지로(小泉進次?) 방위상은 23일 대만에서 111km 떨어진 요나구니섬을 방문해 지대공미사일 배치 계획 등을 설명했다.
● 트럼프, 내년 4월 방중… 中, 또 대만 거론할 듯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시 주석과 매우 좋은 통화를 했다. 중국과의 관계는 매우 견고하다”고 주장했다. 또 “이번 통화는 3주 전 한국에서 이뤄진 우리의 성공적인 회담을 이어가는 후속 조치였다”며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마약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 미국산 대두(大豆)의 중국 수출 등을 논의했다고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이 자신을 내년 4월 중국으로 초청했고, 이를 수락했다고도 밝혔다. 시 주석 역시 내년에 미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WSJ 등은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의 내년 중국 방문 때 대만 의제를 집중 거론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머무는 동안 그를 공략해 “대만 독립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얻어내려 한다는 것이다. WSJ는 “이를 통해 중국이 대만을 외교적으로 고립시키려 한다”고 진단했다.
워싱턴=신진우 특파원 niceshin@donga.com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도쿄=황인찬 특파원 hic@donga.com 기자 admin@119sh.in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