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트 오브 조이’(Burst of Joy). 1974년도 미국 퓰리처상 보도 사진 부문의 수상작?제목이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환희의 폭발’쯤이 될 이 사진은?베트남 전쟁 당시 포로로 붙잡힌 미 공군 조종사가 5년여 만에 풀려나 가족과 재회하는 순간을 포착했다. AP 통신의 살 베더 기자가 촬영했다.
1974년도 미국?퓰리처상 보도 사진 부문?수상작?‘환희의 폭발’(Burst of Joy). 베트남 전쟁 당시 적군에 붙잡혀 5년 넘게 포로 생활을 한 미 공군 조종사 로버트 스텀(당시 중령)이 1973년 3월 풀려나 가
야마토게임다운로드 족과 재회하는 순간을 포착했다.?AP연합뉴스
50년 넘게 미국인들 사이에서 베트남 전쟁의 아픔 그리고 종전의 기쁨을 상징하는 장면으로 통한 이 사진 속 주인공이 92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20일(현지시간) AP 통신에 따르면 예비역 공군 대령 로버트 스텀의 유족은 캘리포니아주
야마토게임무료다운받기 (州)의 한 요양원에 있던 스텀이 지난 11일 노환으로 숨졌다고 밝혔다. 마침 그날은 전쟁을 겪은 미군 장병들을 기리는 공휴일 ‘참전용사의 날’(11월 11일)이었다.
스텀은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1967년 미 공군 소속 조종사로 베트남에서 싸웠다. 그해 10월 27일 스텀은 F-105 전폭기를 몰고 북베트남 상공에서
골드몽 적진에 대한 폭격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교전 도중 전폭기가 격추되자 스텀은 낙하산을 타고 비상 탈출을 시도했는데 이?과정에서 적군이 쏜 3발의 총알을 맞았다. 크게 다친 스텀은 착륙과 동시에 적군에 붙잡혀 포로가 됐다.
하노이로 보내진 스텀은 5곳의 포로수용소를 거치며 총 1966일 동안 수감 생활을 했다. 거의 5년 5개월 가까운
오징어릴게임 기간이다. 그가 갇힌 수용소 중에는 고문과 굶주림으로 악명?높은 일명?‘하노이 힐튼 호텔’도 있었다. 그곳에서 스텀은 해군 조종사 출신으로 역시 포로 생활을 하던 존 매케인(1936∼2018)과 조우했다. 훗날 정치인으로 대성해 공화당 상원의원과 대선 후보를 지낸 바로 그 인물이다. 스텀은 석방 후 가족에게?“매케인이 하는?농담을 들으며?포로가 된 뒤 처음
모바일릴게임 웃었다”고 회상했다. 다만 농담 내용이 무엇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1973년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하며 스텀은?다른 포로들과 함께?풀려났다. 그해 3월 17일 공군 수송기 편으로 캘리포니아주 트래비스 공군 기지에 도착한 스텀은 미리 와서 기다리던 가족과 재회의 기쁨을 나눴다. 아버지와?가장 먼저 포옹하기?위해 양팔을 힘껏 벌리고?달려가는 장녀?로리(당시 15세)의 모습이 특히 감동적이었다. AP 통신이 촬영한 이 사진은 미국의 거의 모든 신문 지면에 실리며?베트남 전쟁의 아픔 그리고 종전의 기쁨을 상징하는 장면으로 자리 잡았다.
다만 이 사진에는 다소 안타까운 사연이?숨어 있다. 스텀을 환영하는 가족 속에는?그의 부인 로레타(당시 37세)도?있다. 그런데 로레타는 남편이 포로 생활을 하는 동안 다른 남자와 사귀었고, 이 사실을 편지로 남편에게 알렸다. 실제로 스텀 부부는 재회하자마자?이혼했으며, 그 직후 로레타는 사귀던 남자와 재혼했다. 송환 후에도 미 공군에 남아 1977년까지?복무하고 대령으로 전역한 스텀은 1993년 언론 인터뷰에서?“이미 헤어지기로 한 아내가 왜 그 자리에 있으면서 나를 반기는 척 연기를 했는지 모르겠다”며?“나는 일부러 그 사진을 보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로레타는 암에 걸려 2010년 74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1973년 3월 베트남에서의 5년 넘는 포로 생활을 마치고?풀려난?미 공군 조종사 로버트 스텀 중령(오른쪽)이 캘리포니아주 트래비스 공군 기지에 도착해 포로들의 귀환을 환영하는 시민들과?인사를 나누고 있다.?미 전쟁부 제공
하지만 이제 68세의 노인이 된 딸 로리는 지금도 사진을 보며 아버지를 떠올린다고 한다.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로리는?“아버지의 귀환은 최고의 선물이었다”며?“아버지와 재회하던 순간 느낀 그 강렬한 감정을 결코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김태훈 논설위원 af103@segye.com 기자 admin@119sh.in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