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가 금관을 아느냐.” 요즘들어 신라 금관이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에게 ‘천마총 금관’의 모형을 선물한 것이 화제를 뿌린 것이다.(이 모형은 순금은 아니다. 구리에 소량의 금을 합금한 적동에 순금을 도금한 금동관이다.)
금관 쓴 트럼프 미 대통령 모습을 표현한 합성 사진(왼쪽)과 서봉총 금관을 쓴 기생 차릉파 사진.
어쨌든 그 덕분일까. 12월14일까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리는 ‘신라 금관, 권력과 위신’ 특별전은 ‘
바다이야기사이트 오픈런’이 벌어질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또한 국내에서 출토된 금관 6점이 사상 처음으로 한꺼번에 모이는 자리라는 점도 ‘관객 폭발’을 유도했다. 결국 관람인원을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 필자는 이번 기회에 신라 금관을 둘러싼 이야깃거리의 정수만 골라 소개하려 한다.
1926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년 10월10일 일본을 방문중이던 아돌프 구스타프 스웨덴 황태자가 마침 경주에서 노출되기 시작한 서봉총 금관의 발굴을 마무리짓는 이벤트가 벌어졌다. 이 서봉총 금관은 1935년 9월 평양 특별전에 대여 전시되었다. 그런데 평양박물관장이 전시회 후 뒷풀이 연회를 베풀면서 이 금관을 평양기생 차릉파의 머리에 씌우는 천인공노할 작태를 벌였다.
야마토게임예시
■신라=황금의 나라
신라는 ‘신라=황금의 나라’였다. 중세 아랍의 지리학자이자 여행가인 알 이드리시(1099~1166)는 “신라에서는 황금이 너무 흔해서 심지어 개의 사슬이나 원숭이의 목테까지도 황금으로 만든다”(<천애갈망자의 산책>)고 했다. <일본서기>도 “일본의 진을 향한 나라(신라)에는 눈부
바다이야기디시 신 금은채색이 많다”고 기록했다. <삼국유사> ‘진한’조는 “신라에는 39곳의 금입택(金入宅)이 있었다”고 전했다.
신라의 황금문화는 마립간 시대의 산물로 여겨진다. 그 시기는 내물(356~402)·실성(402~417)·눌지(417~458)·자비(458~479)·소지(479~500)·지증(500~514) 마립간 연간이다. 김씨의 왕위 독점
바다신릴게임 세습으로 왕권이 강화된 시기다. 금관은 왕의 권력과 신성의 상징물이었다.
상형문자인 임금 ‘왕(王)’자는 사람(╋)이 하늘(ㅡ)과 땅(ㅡ)을 연결하는 모양이다.
금관의 나뭇가지와 사슴뿔 모양 세움 장식은 하늘과 땅을 잇는 매개체를 형상화했다. 새는 지상과 천상을 연결하는 전령으로 여겨진다.
또한 곱은옥과 다양한 달개는 생명력과 영원성을, 황금빛은 절대 권력과 부를 나타냈다.
‘기생금관’이 된 기막힌 사연을 전한 조선일보 1936년 6월23일자. 당시 고이즈미 평양박물관장이 술자리에서 평양의 이름난 기생이던 차릉파에게 금관을 씌우고 온갖 장신구로 치장시킨 뒤 사진을 찍은 사건의 전모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24K가 아니었던 신라금관
그렇다면 금관에 쓰인 금 함유량은 어떠한가.
X선 형광분석기 등 첨단 과학을 동원한 분석 결과 경주 금관 6점의 금 함유량은 80~89% 선인 것으로 확인됐다. 6점 모두 일정량의 은(11~19% 가량)이 함유되어 있었다. 예컨대 세움장식의 경우 6점의 금 함유량은 80~89% 선이다.
의 작가 이효석은 일본어 작품 에서 “하룻밤의 은밀한 놀음이 드러나자…국보의 존엄을 모독했다는…비난의 소리가 높아 신문기자가…기생 집에 숨어들어가 문제의 사진을 훔쳐내어 사회면에 폭로했다…”고 썼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1/12/khan/20251112050150021btgv.jpg" data-org-width="1200" dmcf-mid="0N1aRXlwl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1/12/khan/20251112050150021btgv.jpg" width="658">
‘금관 기생’ 차릉파는 일약 전국구 스타가 되었다. <메밀꽃 필 무렵>의 작가 이효석은 일본어 작품 <은은한 빛(ほのかな ひかり)>에서 “하룻밤의 은밀한 놀음이 드러나자…국보의 존엄을 모독했다는…비난의 소리가 높아 신문기자가…기생 집에 숨어들어가 문제의 사진을 훔쳐내어 사회면에 폭로했다…”고 썼다.
교동(89.2%)-황남대총 북분(86.2%)-금관총(85.4%)-천마총(83.5%)-금령총(82.8%)-서봉총(80.3%) 순이다. 관테(둥근 밑동)의 금함유량도 88.1(교동)~81.4%(서봉총)였다. 신라인들은 왜 24K(99%)의 제품을 만들지 않은걸까. ‘부드러운 금의 성질’에서 그 해답을 찾는다.
순금만 사용했을 경우 연성이 강해서 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은 합금으로 강도를 높였다는 것이다. 광택을 위해 은을 섞었다는 해석도 있다. 순금은 붉은 빛을 띤다. 여기에 은을 섞으면 광택이 난다.
때문에 신라인들은 더 강하고, 더 반짝거리는 금관을 위해 은을 섞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 “신라에는 금은채색이 많다”고 기록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1/12/khan/20251112050151465qlzq.jpg" data-org-width="1200" dmcf-mid="uSo0Gi6bv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1/12/khan/20251112050151465qlzq.jpg" width="658">
중세 아랍의 지리학자이자 여행가인 알 이드리시는 “신라에서는 개의 사슬이나 원숭이의 목테까지도 황금으로 만든다”고 했다. <일본서기>도 “신라에는 금은채색이 많다”고 기록했다.
■이사지왕의 정체?(금관총 금관)
사상 처음으로 발견된 것은 금관총(128호) 금관이다. 1921년 경주 노서리의 주막집 터파기 공사 도중 우연히 발견됐다.
일제는 “금관총 황금유물은 1877년 중앙아시아에서 확인된 옥수스 출토품을 능가한다”면서 “‘우리 일본 영토’에서 처음 발견됐고, 전세계적으로도 가장 두드러진 고분 발견의 예”라고 호들갑을 떨었다.
‘우리 일본 영토’라 했으니 얼마나 가슴 아픈 표현인가.
이 금관총 유물은 곧 수난을 겪는다. 1927년 12월 금관을 제외한 금제 허리띠와 장식 등 90여 점의 황금유물이 감쪽같이 사라진다. 수사는 미궁에 빠질 뻔했다. 경찰과 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은 “천년 넘은 금제품은 요즘의 금 성분과 달리 녹이면 금방 알아치린다”는 거짓정보를 흘렸다. 결국 범인은 사건발생 6개월 만에 도난품 일체를 경찰서장 관사 문 밖에 두고 사라졌다.
현전하는 신관의 금 순도를 분석한 결과 24K는 없었다. 금관 6점의 금 함유량은 80~89% 선인 것으로 확인됐다. 6점 모두 10~20% 사이의 은이 함유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