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고보 창간호에 실린 안성호 선생님의 한시 ‘강호일몽’.
전주에서 소아과병원장 친구가 엊그제 전화로 비보를 전해 왔다. 자기 집 근처에 사시던 고교 은사님의 별세 소식이다. “어? 그래. 어찌 그런 일이.” 크게 놀라며 한동안 먹먹했다. 사연인즉슨, 얼마 전 그 선생님의 실종소식을 지방뉴스로 듣고 동명이인인 줄 알았는데, 며칠 후 사실이고 돌아가셨다는 말을 들었단다. 그 친구도 자세한 내용이나 정확한 날짜는 알지 못한다 했다. 문상조차 할 수 없이, 그냥 그렇게 한세상 사시다 떠나버렸구나, 생각하니 먹먹했다. 5년 전 스승의 날 전날에 남원의
바다이야기모바일 서예가 친구(근봉 이종대)와 둘이 어느 한정식집에서 오래전 교장으로 정년퇴직한 선생님을 처음으로 모신 기억이 떠올랐다. 고교 졸업 후 근 50년 만에 뵙는데, 선생님은 담임이 아니었기에 우리가 잘 기억은 나지 않아도 당신을 알아줘 찾아준 제자들을 많이 반기셨다. 카네이션을 달아드리고 약주를 한잔 따라드리니, 모처럼 석 잔은 마셔보겠다고도 했다. 해마다 모시
신천지릴게임 겠다는 말은 빈 약속이 됐으나, 그 후 서너 차례 통화를 했다. 중국소설 ‘홍루몽’ 3권을 빌려준다며 보내주시고, 나는 결권이라는 ‘원본 삼국지’ 2권을 제본해 보내드렸다.
1939년생, 우리 나이로 87세이고 실종사라니 결코 호상일 수 없는 일. 혹시 치매를 앓고 계셨을까. 고향 진안의 종중산에 정자를 짓고 일주일에 한두 번 내려가 좋아
골드몽릴게임 하는 시조도 읊는 등 음풍농월로 노년을 보내신다는 선생님, 그날도 정자를 찾아 시간을 보내다 길을 잃으신 것일까. 아무튼 한문전공 선생님은 수업 때마다 ‘삼국지’ 이야기를 얼마나 구수하고 실감 나게 해주시던지 가장 기다려지던 시간이었다. 제갈량 ‘출사표’도, 도연명 ‘귀거래사’도, 소동파의 ‘적벽부’도 눈을 감고 외워주신 덕분에, 당시 ‘한 총기’ 하던 내
바다이야기고래 가 줄줄 따라 외워 예쁨도 많이 받았다. 지금도 대충 떠듬떠듬 외울 정도니, 이 모든 게 선생님을 잘 만난 덕분이 아니겠는가. 서예가 친구 역시 나만큼 선생님을 좋아했고, 그 영향을 받아서인지 한문의 세계와 서예에 일찌감치 취미를 가졌다고 고백했다. 일생의 취미가 특기가 된다는 것은 축복이 아닐 수 없다.
지금도 생각난다. 판소리에서도 들
바다이야기게임2 었듯, 유비와 손권의 적벽대전에서 도망치던 조조, 장판교에서 아두(유비아들)를 한 손에 안고 청룡도를 헌 칼 쓰듯 휘두르며 대군을 제압하던 조자룡 등 이야기를 고사성어(삼고초려·계명구도·백미·계륵 등) 하나씩 판서한 후 펼쳐나가면 우리는 어느새 삼국지의 최대 구경꾼이 되었던 것을. 선생님은 재밌는 스토리텔러였다. 낚시를 좋아하신다던 선생님은 우리 졸업 직전 발간된 ‘전라고보’ 창간호(1975년 12월 24일 자) 2면에 ‘강호일몽(江湖一夢)’ 한시를 실으셨다. 키는 작은 편이었지만 젊어 잘생긴 모습을 보면서 선생님을 회억하고 명복을 빌어드렸다. 끝 구절 “한번 홍진을 떠나고 보면 세속 또한 맑아지나니/ 그대들이여! 너무 시비에 얽매이지 마시오”(一斥紅塵閑世俗 諸君莫道是非由). 당시 37세였을 듯하다. 이제 홍진을 떠나 온갖 시비에 얽매이지 않고 사시게 됐을까.
언젠가 어느 후배가 나에게 “성님은 ‘설명충’ 인간이군요”라고 했는데, 설명충이라니. 뭔가 설명을 하지 못하면 안절부절못하는 벌레라는 말인가. 스토리텔러라는 좋은 말이 있는데 충은 좀 그렇지 않은가. 졸저의 글머리에 “글목걸이를 걸고 말팔찌를 차고 다니는 음유시인이었으면 좋겠다”고 쓴 적이 있는데, 내가 역사와 기록유산을 좋아하여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알려주고 싶어 안달하는 스토리텔러가 된 것도 어쩌면 안성호 선생님의 영향을 받은 덕분일 것이다.
이 글을 빌려 고인이 된 선생님께 매년 스승의 날 식사를 대접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해 죄송하다는 말과 함께 귀한 중국소설 ‘홍루몽’ 3권을 빌려주셨는데 돌려드릴 길이 없어 감사하게 읽고 선물로 소중하게 간직하겠다는 말씀을 전합니다. 부디 하늘나라에서 근심 걱정 없이 낚시를 즐기며 천복을 누리소서.
최영록(생활칼럼니스트)
‘그립습니다 · 사랑합니다 · 자랑합니다 · 고맙습니다 · 미안합니다’ 사연 이렇게 보내주세요△ 이메일 : phs2000@munhwa.com△ 카카오톡 : 채팅창에서 ‘돋보기’ 클릭 후 ‘문화일보’를 검색. 이후 ‘채팅하기’를 눌러 사연 전송△ QR코드 : 라이프면 QR코드를 찍으면 문화일보 카카오톡 창으로 자동 연결△ 전화 : 02-3701-5261▨ 사연 채택 시 사은품 드립니다.채택된 사연에 대해서는 소정의 사은품(스타벅스 기프티콘)을 휴대전화로 전송해 드립니다. 기자 admin@gamemong.in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