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훌 아드바니(Rahul Advani) 리플 글로벌정책 총괄이 지난 9월 서울에서 열린 '이스트포인트 2025'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해시드
"한국은 가상자산(암호화폐) 시대를 이끌 핵심 국가 중 하나입니다. 한국에서 가상자산 상용화가 본격화할 때 리플의 스테이블코인 'RLUSD'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길 바랍니다."
라훌 아드바니(Rahul Advani) 리플 글로벌정책 총괄(사진)은 6일 블루밍비트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아드바니 총괄은 블룸버그를 거쳐 국제스왑파생상품협회(ISDA·Inter
릴게임신천지 national Swaps and Derivatives Association)에서 파생상품·사업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했던 글로벌 금융정책 전문가다. 그는 이같은 경험을 토대로 2021년부터 리플에서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내 디지털자산 규제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 협력 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드바니 총괄이 아시아에서 포착한 가상자산
릴게임사이트추천 시장의 기회, 한국 시장의 잠재력 등에 대해 들어봤다.
?"당국간 협력 체계 등 마련돼야"
리플은 가상자산으로 국제송금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회사다. 아드바니 총괄은 "전통 금융권에서 이뤄지는 국제송금은 상당 부분에서 마찰이 발생해 비효율적"이라며 "리플이 정보처럼 돈도 빠르고 투명하게 이동하는 '가치의 인터넷(I
바다이야기릴게임연타 nternet of Value)'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알게 돼 합류했다"고 밝혔다.
핵심 상품은 '리플 페이먼츠(Ripple Payments)'다. 리플 페이먼츠는 리플의 국제송금 시스템으로 기업 간 송금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자사 스테이블코인 RLUSD를 시스템에 통합해 본격적인 서비스 확장에 나섰다. RLUSD는 지난해
오리지널바다이야기 리플이 출시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현재 시가총액은 10억달러(약 1조 4500억원) 규모다.
아드바니 총괄은 "RLUSD나 엑스알피 같은 디지털자산을 활용하면 국제송금의 병목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며 "기관과 기업이 복잡한 해외송금 과정을 간소화하면, 이를 통해 부가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릴게임사이트추천 리플의 주요 타겟으로 아시아 시장을 꼽았다. 실제 리플은 아시아 내 여러 국가에서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지난 8월 일본 금융그룹 SBI홀딩스와 RLUSD의 일본 사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한 게 대표적이다.
아드바니 총괄은 "아태 지역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역이 발달했다는 점"이라며 "거래 규모가 클수록 저비용 결제 솔루션이 중요한데, 이는 리플의 비전과 맞닿아 있다"고 밝혔다. 이어 "SBI와의 협력은 RLUSD가 기관 중심 시장에서도 신뢰할 수 있고 규제를 준수하는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규제 단절은 풀어야 할 과제다. 아시아는 국가 수가 많은 데다가 각국 금융 제도 및 규제 체계가 모두 다르다는 게 아드바니 총괄의 설명이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의 제도적 확산을 위해선 국가별로 상이한 기준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며 "'동일 활동, 동일 리스크, 동일 규제(same activity, same risk, same regulation)' 원칙 하에 기능별 분류 체계, 발행·커스터디 최소 기준, 당국 간 협력 체계 등이 조화롭게 마련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韓, 가상자산 상용화 주도할 수 있어"
한국에 대해선 "차세대 가상자산 상용화를 주도할 수 있는 국가"라고 했다. 그는 "한국은 대기업 중심의 수출 경제 구조를 갖춘 무역 선진국"이라며 "국경 간 송금 효율성이 경쟁력과 직결되는 국가"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RLUSD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상자산이 한국에서 사용될 것"이라고 했다.
한국의 높은 디지털 리터러시도 강점으로 꼽았다. 디지털 리터러시는?디지털 환경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찾고 활용하는 역량을 뜻한다.?그는 "한국은 기술친화적 소비자층과 디지털결제 인프라를 모두 갖춘 시장으로 새로운 결제 수단이 빠르게 수용될 수 있는 환경"이라며 "이는 스테이블코인 상용화를 촉진할 수 있는 핵심 요인"이라고 말했다.
국내 가상자산 입법에 대한 제언도 있었다. 그는 "한국에서 입법이 추진되고 있는 디지털자산기본법에 스테이블코인 부문의 상환권, 자본요건, 준비금 품질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길 기대한다"며 "글로벌 정합성을 염두에 둔 제도 설계가 이뤄진다면 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모범적인 스테이블코인 규제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진욱 블루밍비트 기자 wook9629@bloomingbit.io 기자 admin@slotmega.in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