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서의 삶이란 게 다 그렇지 뭐. 소음에도 익숙해져야 하고, 자동차도, 유리창도 잘 피해야 하고, 인간들의 행동 패턴도 잘 익혀놔야 하지. 우리 삶이 인간의 행동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싶지만, 그게 그래. 집비둘기처럼 도시에 잘 적응해 무엇이든 잘 먹는 애들과 달리 나는 채식을 하는 편이라 길거리에서 대충 사람들이 먹다 남은 음식을 주워 먹지 않거든. 어디에 가면 풀씨를 먹을 수 있는지, 언제쯤 풀을 베는지, 나무 열매는 주로 어디에 많은지, 둥지를 지을 적당한 나무들은 어디에 많은지 등 도시에서 살아가려면 정보를 최대한 많이 가지고 있어야 해. 그건 바로 생존과 연결되니까 말이야. 나는 멧비둘기야.
사아다쿨 멧비둘기는 도심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새다. ⓒ박임자 제공
나를 본 적은 없어도 ‘구구 구구’ 소리를 들으면 ‘아! 그게 너였어?’ 하고 금방 알 수 있을 거야. 우리 소리를 듣고 깊은 산에 사는 올빼미가 내는 소리인 줄 알았다는 사람도 있고, 부엉이 소리인 줄 알았다는 사
바다이야기#릴게임 람도 있던데 내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면 ‘구구’ 소리가 들릴 때 주위를 둘러봐. 그 자리에서 멀지 않은 곳에 내가 앉아 있을 테니까.
예전엔 어디에서나 농사를 지으니까 볍씨나 농작물을 먹곤 했는데 요샌 많은 곳이 도시화돼서 논이 별로 없잖아. 건물은 많아지고 논밭은 줄어들고 사람들은 먹고살기
골드몽릴게임 위해 시골을 떠나 도시로 가고. 어쩔 수 없이 나도 보따리를 싸서 사람을 따라 도시로 왔어. 먹고살기 위해 도시로 간 사람들은 나무가 그리웠는지, 자투리 공간만 있으면 나무랑 꽃을 많이 심더라. 특히 자동차가 쌩쌩 달리는 도로 주변에 가로수를 쭉 심어놓기도 해서 먹이를 구할 때나 둥지를 지을 때 이용하기도 해.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자동차 이야기를 하니까 며칠 전에 서울에 사는 내 친구가 겪은 안타까운 일이 생각나. 그때를 떠올리면 놀란 가슴이 아직도 벌렁거려. 나랑 도시 입성 동기인데 그때 새끼를 키우고 있었나 봐. 가로수 아래 떨어진 열매를 주우려고 내려가다가 자동차에 쾅 부딪히고 만 거야. 길 한복판에서 일어나지 못하고 계속 고개를 흔드는 게 심상치 않았어. 이거
바다이야기프로그램 보통 일이 아니구나 걱정은 됐지만 우리 새들은 이럴 때 안타까워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어. 옆에서 지켜보고 있는데 가을이 엄마가 그 친구를 보고 무슨 일인가 싶어 도로로 가서 얼른 데리고 나왔어.
자동차와 부딪쳐 사고를 당한 멧비둘기를 구조한 모습. 어둡고 조용하게 꾸민 상자에서 쉴 수 있도록 해주었다. ⓒ박임자 제공
가을이 엄마가 누구냐고? 유기견 보호소에서 봉사활동을 하다 10년 동안 철창 밖을 나와본 적이 없는 유기견을 입양해서 ‘가을이’라고 이름 붙이고 죽을 때까지 함께 산 사람 친구야. 가을이 엄마는 다친 듯 보이는 내 친구를 발견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 10년 전에 동화를 같이 공부한 탐조책방 사장님한테 멧비둘기 영상을 톡으로 보냈대. 사장님은 늦은 저녁 시간이라 하룻밤 보호하고 있다가 내일 아침에 구청이나 서울시 야생동물센터에 연락해보라고 했대.
나중에 들은 얘기로 친구는 얼마 지나지 않아 무지개다리를 건넜다고 해. 보통 충돌사고를 당한 새들은 그 자리에서 죽는 경우가 많은데 그래도 구조해준 사람의 따뜻한 마음과 빠른 조치 덕분에 조금이나마 숨을 더 쉴 수 있었던 게 아닐까? 사람이든 새든 운명은 어쩔 수 없지만, 그래도 그 따뜻한 마음을 품고 세상을 떠나게 된 건 참 고마운 일이야. 고마워 가을이 엄마!
박임자 (탐조책방 대표) editor@sisain.co.kr
▶읽기근육을 키우는 가장 좋은 습관 [시사IN 구독]
▶좋은 뉴스는 독자가 만듭니다 [시사IN 후원]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