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하는 모하메드 하루나 함자씨 [촬영 박주영]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친구들이 사회가 내게 무엇을 해줄 수 있을지 생각하기보다는 내가 어떻게 사회에 보탬이 될 수 있을지 관점을 바꿔서 생각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지난 3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정에서 만난 모하마드 하루나 함자(27) 씨는 자신과 같은 길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렇게 말했다.
인터뷰 내내 미소를 보이며 여유로움을 잃지 않던 함자 씨는 어린 학생들에 대한 당부를 전할 때만큼은 결연
바다신릴게임 한 표정으로 힘주어 말했다.
그는 "저는 제 꿈을 이루는 과정에서 부모님으로부터 어떤 지원도 받을 수 없었다"며 "KAIST에 온 친구들은 국적도, 살아온 환경도 다 다르지만, 저처럼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 왔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여느 20대답지 않은 '꼰대' 같은 그의 조언은 평범과는 거리가 먼, 살아온
메이저릴게임사이트 이력에서 비롯됐다.
그는 나이지리아 북쪽에서 일곱명의 형제자매와 함께 자랐다.
'보코하람'이라는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조직에 의해 폭격당해 하루아침에 살던 집을 잃고 난 후 그의 가족은 남쪽으로 쫓기듯 이사했다.
이모마저 테러 집단에 의해 사망하고 난 뒤 그의 마음속에 남은 것은 복수심뿐이었다.
바다이야기무료머니 가족을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자립해야 한다는 생각밖에 없었고, 어렸을 때부터 막연하게 꿈꿔왔던 우주인의 길을 접고 현실적인 대안인 공군을 택했다.
이후 군인 양성을 위한 중학교에 들어가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다른 길은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그런 그의 맘을 돌린 것은 어머니였다.
바다신2 다운로드
나이지리아에 있는 함자씨의 가족들 [하루나 함자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직업군인인 둘째 형에 이어 그마저 입대한다면 더는 버텨낼 힘이 없다는 어머니의 만류에 결국 학비 지원을 받는 유학으로 방향을 돌렸고, 2017년 정부 초
모바일바다이야기하는법 청 장학금을 받아 한국 땅을 밟았다.
이후 1년 동안 서울에서 한국어 어학연수를 한 뒤 이듬해 광주 조선대 항공우주공학과에 진학했다.
함자 씨는 "19살에 고국을 떠나 한국에서 스무살 생일을 맞았다"며 "한국에 와서야 비로소 우주선을 만들겠다는 저의 어렸을 적 꿈을 실현할 수 있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때는 이미 K팝, 드라마, 영화 등을 통해 한류 열풍이 전 세계를 휩쓸었을 때였지만 함자 씨는 유학 프로그램을 검색해 보기 전까지는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알지 못했다고 전했다.
언어는 물론 음식, 생활 습관, 사고방식 등 모든 게 낯선 환경에서 버티는 일은 당연히 쉽지 않았다.
함자 씨는 "수업도 한국어로 듣고, 보고서 발표는 물론 시험도 다 한국어로 해야 하니까 어느 순간 계속 이 공부를 하는 게 맞나 회의도 들었다"고 토로했다.
그를 다시 일어서게 한 것은 다른 무엇도 아닌, 그의 꿈이었다.
함자 씨는 "2학년 때 학과 친구랑 캔 위성 경연대회를 나갔는데, 우리가 개발한 작은 캔 위성이 우주로 발사되는 것을 보면서 '아, 내가 원한 게 이거였지' 하는 확신이 들었다"며 "아무리 힘들어도 항공우주 분야의 길을 걸을 것이고 학사는 물론 석사, 박사까지 마치겠다고 마음먹었다"고 전했다.
그는 곁에서 응원해준 친구들 덕분에 버틸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함자 씨는 "친구들은 저를 외국인이라는 시선으로 보지 않고 차별 없이 대해 줬으며, 한 번도 '너는 외국인이라서 안돼' 라는 얘기를 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덕분에 외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광주지역아동센터에서 교육 봉사를 했고 봉사활동 공로를 인정받아 시장 표창을 받았으며, KAIST 석사과정에 입학해서는 학생회에 가입해 평의원으로 활동했고, 지난해 KAIST 학위 수여식에서는 졸업생 대표로 연설도 했다. 모두 외국인 '최초'라는 타이틀로 이뤄낸 것들이다.
함자 씨는 "친구를 따라갔다가 광주지역아동센터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게 됐는데, 처음에는 '선생님! 피부색이 왜 이렇게 까매요?' 하며 신기하게 바라보던 아이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나를 진짜 한국인처럼 대해주더라"면서 "처음엔 제가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순수한 아이들의 눈빛을 보면서 매일 아침 총소리를 들으며 겪어야 했던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치유되는 느낌이었다"고 전했다.
연구실에서 근무하는 하루나 함자씨 [본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KAIST 석사 졸업생 대표로 한 연설에서도 이러한 자기 경험을 담아 친구들을 응원해 주고 싶었다고 했다.
함자 씨는 "카이스트에는 95개국 이상에서 온 외국인 유학생이 있는데, 이 모든 학생이 다양한 환경에서 자라지 않았겠느냐. 제 친구 중에서도 지방에서 어렵게 살아온 한국인 친구가 있다"며 "우리 모두 다양한 배경에서 자랐지만 이겨내서 여기까지 온 만큼 축하해 주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방효충 교수 연구실에서 인공위성 시스템 연구, 세부적으로는 지구관측용 광학 카메라를 개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인공지능을 이용해 이미지 데이터를 분류·처리하는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를 개발, 필요한 데이터만 지상국으로 보내는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함자 씨는 "그동안 한국 정부의 우수 인재 비자 제도 덕분에 혜택을 많이 받았다"면서 "새로 생긴 '이노코어'(우수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 AI 분야에 지원하는 프로그램) 제도를 통해 박사후과정까지 밟게 되면 경제적으로도 충분히 안정적일 수 있고, 우수 인재에 지원하는 귀화 트랙도 잘 돼 있어서 영주권에 도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한국이라는 나라 덕분에 원하는 공부를 계속해서 할 수 있었다"면서 "감사하는 마음으로 사회에 돌려주고 싶다"고 다짐했다.
jyou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기자 admin@gamemong.info